맨위로가기

울산광역시의 시외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광역시의 시외버스는 울산고속버스터미널, 울산시외버스터미널, 언양시외버스터미널, 방어진시외버스터미널 등 여러 터미널과 간이정류소를 통해 운행된다. 울산고속버스터미널은 고속버스 노선을, 울산시외버스터미널은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다양한 방면의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언양시외버스터미널은 영남권, 방어진시외버스터미널은 수도권, 강원권, 영남권 방면 노선을 운행한다. 신복시외버스정류소, 공업탑/법원시외버스정류장, 태화로터리시외버스정류장, 무거/웅촌 등 부산 방면 정류장, 해운대 방면 정류장, 경주 방면 정류장, 방어진 방면 정류장, 석남사정류장 등 간이 정류장도 운영되고 있다.

2. 울산고속버스터미널

'''울산고속버스터미널'''은 울산 남구 삼산로 288 (삼산동 1480-4)에 있는 버스 터미널이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715'''이다.

1995년부터 터미널 부지 협소 문제로 이전이 추진되어 1999년 8월 24일 울산시외버스터미널과 함께 삼산동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2001년 1월 별도 건물을 신축하여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으며, 롯데그룹에서 롯데백화점롯데호텔과 함께 건립하였다. 현재 6개 노선이 하루 91회 운행되고 있으나, 롯데백화점 이용 차량과 버스가 뒤엉켜 혼잡이 발생하여 재이전 논의가 진행 중이다. 신복시외버스정류소는 울산고속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여 고속도로로 진입하기 전, 대구를 제외한 모든 행선지의 고속버스가 중간 경유하는 정류소이다.

방면행선지
수도권 방면서울경부
충청권 방면대전, 천안
호남권 방면광주, 전주,익산,군산
영남권 방면동대구


2. 1. 운행 노선

2. 1. 1. 수도권 방면

자료 없음

2. 1. 2. 충청권 방면

울산광역시에서 충청권으로 가는 시외버스는 대전, 천안 방면 노선이 있다.

대전광역시로 가는 노선은 대전복합터미널로 간다.

천안시로 가는 노선은 천안종합버스터미널천안역 동부광장(길 건너편)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다.

2. 1. 3. 호남권 방면

위키 텍스트 문법에 따라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소스가 비어있음)

2. 1. 4. 영남권 방면

텅 비어있음.

3. 울산시외버스터미널

울산시외버스터미널은 울산광역시 남구 화합로 133(삼산동 1481-1)에 위치한 시외버스 터미널로, 흔히 시외버스 터미널이라고 불린다. 동해남부선 태화강역과 가깝다. 터미널 안에는 롯데리아, 어묵 판매점이 있으며, 길 건너편에 고속버스 터미널이 있다. 일부 노선은 심야 운행을 하거나 타 지역을 경유한다.

방면행선지
수도권 방면고양[1][2], 동서울[1][3], 부천[1][4][5], 성남[1][4], 송도, 수원, 안산, 여주, 오산, 용인[1][4][6], 의정부, 이천[7], 인천국제공항[8], 인천[1][4][9]
강원권 방면강릉[10][11], 공근, 동해, 삼척, 원주, 춘천[1][4][12], 홍천, 횡성
충청권 방면수안보, 연풍, 제천[1][4][13], 청주[14], 충주[1][4][15]
호남권 방면광양, 동광양, 목포[1][3][16], 보성, 삼호, 순천[1][3][17][18], 여수[3][17][19], 여천
영남권 방면감포[10][20], 건천, 경산[1][4][21], 경주[10][22], 고성, 고아, 구지, 고현, 공업탑, 구미[1][4][23], 구미공단, 금곡, 기계, 기장, 길안, 김해[1][3][17][24], 나아, 낙동, 남마산, 남명, 남창, 내리, 단촌, 달곡, 대구대[1][4][25], 대본, 덕계, 덕하, 도평, 동대구[1][4], 동래[3][17][26], 마산[3][17][27], 망양, 명례, 모화, 문경, 밀양, 방어진, 배둔, 복지, 봉길, 부산[3][17][28], 불국사, 사곡, 상주, 서대구[1][4], 서창, 석남사, 선산, 송정, 송백, 신령, 신명, 신복, 아화, 안강, 안덕, 안동[29], 양산[1][3][17], 양정, 얼음골, 연계, 영남대, 영주, 영천, 옥포, 용당, 우보, 울진, 웅촌, 유천, 의성, 의흥, 일광, 일직, 임포, 입실, 장승포[3][17][30], 전촌, 점촌[1][4][31], 정자(포항), 정자(울산), 진주[1][3][17][32], 진해[3][17][33], 좌천, 죽장, 진동, 진량, 창원[3][17][34], 청도[35], 탑리, 통영[1][3][17][36], 포항[10][37], 하근, 하서, 하양, 함창, 해운대[3][38], 화산, 화수


3. 1. 운행 노선

3. 1. 1. 수도권 방면

울산광역시에서 출발하여 수도권으로 향하는 시외버스는 다양한 목적지를 가지고 있다.

동서울 방면 노선은 울산에서 수도권 동부 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교통편이다.

인천 방면 노선은 인천광역시 및 인근 지역으로의 접근성을 높여준다. 특히,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노선은 해외여행객들에게 편리한 교통편을 제공한다.

수원, 성남, 용인 등 경기도 주요 도시로 향하는 노선들은 울산과 경기도 간의 교류를 활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노선들은 경기도 내 주요 도시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특히 신갈과 영덕을 경유하는 경우도 있어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도 유용하다.

3. 1. 2. 강원권 방면

강원권 방면으로는 강릉, 동해, 삼척, 원주, 춘천 방면 노선이 있다.

3. 1. 3. 충청권 방면

자료가 없습니다.

3. 1. 4. 호남권 방면

호남권 방면으로는 광양목포, 순천, 여수 등의 지역으로 가는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3. 1. 5. 영남권 방면

울산광역시에서 출발하여 영남권 방면으로 가는 시외버스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동대구, 경주, 포항, 김해, 마산, 창원, 진주, 통영, 안동 등으로 운행한다.

4. 언양시외버스터미널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헌양길 7(남부리 130)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이다. 현재 시외버스 8개 노선이 하루에 95회 운행한다. 과거 시외버스였다가 시내버스로 전환된 노선도 일부 운행하고 있다.

방면행선지
영남권 방면경산, 경주, 김해, 동대구, 동곡, 양산, 창원, 포항, 부산


4. 1. 운행 노선

5. 방어진시외버스터미널

울산광역시 동구 내진길 9(방어동 127-13)에 위치하는 버스 터미널이다. 현재 시외버스 6개 노선이 하루에 75회 운행한다.

방면행선지
수도권 방면동서울
강원권 방면강릉, 동해, 삼척
영남권 방면거제, 고성, 남마산, 덕계, 동대구, 배둔, 부산, 서창, 용당, 울진, 웅촌, 진동, 통영, 포항, 해운대


5. 1. 운행 노선

6. 신복시외버스정류소

울산고속도로 입구 근처에 있는 간이 정류소로,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노선이 경유한다.

7. 봉계시외버스터미널

'''봉계시외버스터미널'''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두동로 1842 (봉계리 510-5)에 있었던 시외버스터미널이다.

1993년에 시외버스터미널로 인가받았다. 울산~봉계, 경주~봉계, 언양~봉계 노선이 운행되었으나, 울산시·군과 경주시·군이 통합하면서 이곳의 노선들이 모두 시내버스로 전환되고, 2003년에 시외버스터미널 인가가 해지되었다. 이후에는 울산시내버스 회차지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내버스 업체들이 임대료를 지불하지 않자 2010년 11월 13일에 터미널 부지 소유주가 회차지를 폐쇄해 버렸고, 울주군이 봉계불고기특구 뒤편 하천부지에 임시회차지를 운영하였다. 울주군이 터미널 부지 일부를 매입하여 도시계획도로 개설을 추진하면서 부지 소유주가 설치한 장애물은 철거되었지만 현재 시내버스들은 하천부지에 조성된 주차장에서 회차한다.

8. 울산광역시의 간이정류소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고속버스터미널이 도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울산 관내 여러곳에 간이정류장이 운영되고 있다. 대표적인 곳으로는 울산고속도로 입구 근처에 위치한 신복시외버스정류소가 있으며,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노선이 이 곳을 경유하기 때문에 가장 규모가 크다. 또한 기존 태화동에 위치했던 터미널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해 생긴 태화로터리시외버스정류장, 공업탑시외버스정류장 등이 있다. 현재 울산광역시에 약 16곳의 간이정류소가 설치되어 있다.

==== 공업탑, 법원시외버스정류장 ====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2동 공업탑로터리 근처와 옥동 문수로 295 앞(법원 앞)에 위치한 시외버스정류장이다. '''공업탑시외버스정류장'''과 '''법원시외버스정류장'''(또는 '''옥동시외버스정류장''')은 울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 노선 중 일부가 경유하는 정류장으로, 부산 방면 노선도 이곳을 경유한다. 일부 노선은 공업탑에만 정차하고 법원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동서울 방면, 호남권 방면, 영남권 방면 노선이 정차한다.

방면행선지
수도권 방면동서울
호남권 방면광양, 동광양, 목포, 보성, 삼호, 순천, 여수, 여천
영남권 방면고성, 고현, 김해, 남마산, 덕계, 마산, 배둔, 부산, 사곡삼거리, 서창, 양산, 옥포, 용당, 웅촌, 장승포, 진동, 진주, 진해, 창원, 통영



==== 태화로터리시외버스정류장 ====

'''태화로터리시외버스정류장'''은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1동에 있다. 울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 노선 중 일부가 태화로터리와 신복을 경유한 뒤 고속도로로 진입한다. 김해국제공항으로 가는 공항리무진이 태화로터리에서 출발한다. 태화로터리정류장의 시설은 금아고속관광이 기증한 것으로 금아버스그룹, 아성고속, 천마고속 등 경상북도를 연고지로 하는 버스회사가 운행하는 노선이 주로 태화로터리를 경유한다.

방면행선지
수도권 방면부천, 성남, 수원, 안산, 오산, 인천
강원권 방면공근, 원주, 춘천, 홍천, 횡성
충청권 방면수안보, 연풍, 제천, 청주, 충주
영남권 방면경산, 경주, 고아, 구미, 구미공단, 금곡, 김해국제공항, 낙동, 남명, 대구대, 동대구, 문경, 밀양, 복지, 상주, 서대구, 석남사, 선산, 송백, 안동, 양정, 얼음골, 영남대, 영주, 용계, 유천, 점촌, 진량, 청도, 하양, 함창



==== 부산 방면 정류장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방면 노선이 정차하는 정류장은 다음과 같다.


  • '''무거합동정류소'''는 울산광역시 남구 웅촌로 1345 (무거동 1014-1)에 있다. 울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 차량만 정차하며, 부산, 마산, 여수, 창원, 진해 방면 노선이 있다.
  • '''웅촌시외버스정류장'''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곡천검단로 1 (곡천리 285-8)에 있으며, '''삼거리슈퍼'''에서 매표 업무를 한다. 부산, 마산, 여수, 창원, 진해, 통영 방면 노선과 방어진↔부산 노선이 정차하며, 울산↔웅촌, 방어진↔웅촌 구간도 이용할 수 있다.


운행 노선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운행 횟수시간표 (울산터미널 기준)
울산 ↔ 부산푸른교통, 금호고속울산 ↔ 부산
동래역(심야)
공업탑, 옥동, 무거, 웅촌, 용당, 서창, 덕계5~25분첫차:05:40(울산 기준)
막차:02:00(울산 기준)
울산 ↔ 마산울산 ↔ 마산공업탑, 옥동, 무거, 웅촌, 용당, 서창, 덕계, 부산4회10:33, 13:26, 17:50, 18:37
울산 ↔ 여수금호고속울산 ↔ 여수공업탑, 옥동, 무거, 웅촌, 용당, 서창, 덕계, 부산, 마산, 순천, 여천3회05:55, 09:28, 14:48
울산 ↔ 창원울산 ↔ 창원공업탑, 옥동, 무거, 웅촌, 용당, 서창, 덕계, 부산3회05:40, 05:50, 09:20
울산 ↔ 진해울산 ↔ 진해공업탑, 옥동, 무거, 웅촌, 용당, 서창, 덕계, 부산, 창원3회09:20, 13:00, 17:00
방어진 ↔ 부산금호고속방어진 ↔ 부산KT동울산지점, 현대중공업, 남목1동, 현대자동차, 웅촌, 용당, 서창, 덕계20~60분첫차:05:50(방어진 기준)
막차:24:00(방어진 기준)
방어진 ↔ 통영금호고속방어진 ↔ 통영KT동울산지점, 현대중공업, 남목1동, 현대자동차, 웅촌, 용당, 서창, 덕계, 부산, 남마산, 진동, 배둔, 고성8회05:50, 08:05, 08:50, 11:10
12:40, 14:30, 15:40, 17:30



==== 해운대 방면 정류장 ====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 방면 노선이 정차하는 정류장은 다음과 같다.


  • '''울산대공원동문앞정류장'''은 남구 신정2동 16-3 울산대공원의 동문앞에 있다. 시내·시외버스 통합정류장이 설치되어있다. 직행과 고속도로 직통이 모두 정차한다.
  • '''덕하시외버스정류장'''은 울주군 청량읍 덕하로 231 (상남리 580-3)에 있다. '''경북상회'''라는 슈퍼에서 매표업무를 하고 있다. 울산↔덕하구간도 이용할 수 있다.
  • '''망양정류장'''은 울주군 온양읍 덕망로 306 (망양리 481-103)에 있는 '동양마트'의 맞은편에 있다. 시외버스정류장이 따로 없고 시내버스정류장에 정차하며 매표소도 없다. 울산↔망양구간도 이용할 수 있다.
  • '''남창시외버스정류장'''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남창1길 48 (남창리 197-2)에 위치하고 있다. 울산↔남창구간도 이용할 수 있다.


운행 노선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시간표
(울산터미널 기준)
울산 ↔ 해운대해운대고속울산 ↔ 해운대울산대공원동문앞, 덕하, 망양, 남창, 명례, 하근, 좌천, 일광, 기장, 송정30~35분첫차:05:45(울산 기준)
막차:00:50(울산 기준)
울산대공원동문앞, 장산역20~30분첫차:07:00(울산 기준)
막차:20:30(울산 기준)



==== 경주 방면 정류장 ====

국도 제7호선을 경유하여 경주시, 포항시 방면 노선이 정차하는 정류장은 다음과 같다.


  • '''효문시외버스정류장'''은 북구 진장동 620-2에 있는 시내·시외버스 통합정류장이다. 2012년 6월 1일에 매표 업무가 중단되어, 현금으로 승차해야 한다. 컨테이너 건물은 철거되었고, 버스 시간도 명시되어 있지 않다.[39][40] 효문정류장에서는 감포 방면 노선도 이용할 수 있다.
  • '''울산공항시외버스정류장'''은 북구 송정동 울산공항 앞에 있는 시내·시외버스 통합정류장이다. 매표소가 없다.
  • '''호계시외버스정류장'''은 북구 호계동 768-6에 있다. 상안교사거리 근처 국도 제7호선(산업로) 도로변에 있으며 컨테이너 가건물에서 매표 업무를 한다.


이들 정류장에서는 금아여행이 운행하는 울산 ↔ 경주 노선(33회), 울산 ↔ 안동 노선(4회), 울산 ↔ 포항 노선(43회), 울산 ↔ 강릉 노선(4회)과 새서울고속이 운행하는 울산 ↔ 청주 노선(3회)이 정차한다.[39] 경주행 노선은 모화, 입실, 불국사를 경유하며,[39] 안동행 노선은 경주, 영천 등을 경유한다. 포항행 노선은 일부 시간대에 경주를 경유하거나 무정차 운행한다.[40] 강릉행 노선은 포항을 경유하거나, 동해에 직통으로 운행한다.

경주시 감포읍 방면 노선이 정차하는 간이정류소는 다음과 같다.

  • '''KBS울산정류장'''은 남구 번영로 212 (달동 416-7) KBS울산방송국 앞에 있다. 시외버스정류장은 없고 시내버스정류장에 정차한다.
  • '''구역전시장정류장'''은 중구 구교로 20에 있다. 울산 ↔ 감포 노선만 정차하는 정류장이 있다.
  • '''학성공원정류장'''은 중구 학성동 학성공원 앞에 있다. 시내버스정류장에 정차한다.
  • '''효문정류장'''은 위의 경주·포항 방면 노선이 정차하는 효문시외버스정류장과 같은 곳이다.


이후 국도 제31호선을 경유, 북구 강동동~경주시 감포읍 구간은 모든 시내버스정류장에 정차한다. 해운대고속이 운행하는 울산 ↔ 감포 노선은 6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강동동(달곡·정자·신명)에서는 울산터미널 방면도 이용할 수 있다.

==== 방어진 방면 정류장 ====

방어진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 노선은 KT동울산지점, 현대중공업, 남목1동, 현대자동차 정류장을 모두 경유한다. 단, 방어진↔강릉 노선은 현대자동차 정류장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 '''KT동울산지점정류장'''은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771-1(전하2동 639-8)에 있는 대영정비공업사의 맞은편에 있다.
  • '''현대중공업정류장'''은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1000(전하1동 1)에 있는 현대중공업 본사 앞에 있다. 시내·시외버스 통합정류장이 설치되어있다.
  • '''남목1동정류장'''은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1128(서부동 315-57)에 있다. 시내·시외버스 통합정류장이 설치되어있다.
  • '''현대자동차정류장'''은 북구 염포로 549-1(양정동 604-5)에 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정문 인근이다.


==== 석남사정류장 ====

'''석남사정류장'''은 울주군 상북면 석남로 556 (덕현리 1002)에 위치한다. 울산↔청도, 밀양↔석남사 노선이 운행한다.[41]

운행
노선
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시간표
(울산터미널 기준)
울산 ↔ 청도
경산버스울산청도태화로터리, 신복, 석남사, 얼음골, 남명, 송백, 금곡, 밀양, 유천3회12:20, 14:55, 18:30(울산 기준)
석남사 ↔ 밀양
밀성여객석남사밀양얼음골, 남명, 송백, 금곡10회08:30, 09:30, 11:00, 12:20, 13:20, 14:20, 16:00, 17:40, 18:20, 19:20


8. 1. 공업탑, 법원시외버스정류장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2동 공업탑로터리 근처와 옥동 문수로 295 앞(법원 앞)에 위치한 시외버스정류장이다. '''공업탑시외버스정류장'''과 '''법원시외버스정류장'''(또는 '''옥동시외버스정류장''')은 울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 노선 중 일부가 경유하는 정류장으로, 부산 방면 노선도 이곳을 경유한다. 일부 노선은 공업탑에만 정차하고 법원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동서울 방면, 호남권 방면, 영남권 방면 노선이 정차한다.

방면행선지
수도권 방면동서울
호남권 방면광양, 동광양, 목포, 보성, 삼호, 순천, 여수, 여천
영남권 방면고성, 고현, 김해, 남마산, 덕계, 마산, 배둔, 부산, 사곡삼거리, 서창, 양산, 옥포, 용당, 웅촌, 장승포, 진동, 진주, 진해, 창원, 통영


8. 2. 태화로터리시외버스정류장



'''태화로터리시외버스정류장'''은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1동에 있다. 울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 노선 중 일부가 태화로터리와 신복을 경유한 뒤 고속도로로 진입한다. 김해국제공항으로 가는 공항리무진이 태화로터리에서 출발한다. 태화로터리정류장의 시설은 금아고속관광이 기증한 것으로 금아버스그룹, 아성고속, 천마고속 등 경상북도를 연고지로 하는 버스회사가 운행하는 노선이 주로 태화로터리를 경유한다.

방면행선지
수도권 방면부천, 성남, 수원, 안산, 오산, 인천
강원권 방면공근, 원주, 춘천, 홍천, 횡성
충청권 방면수안보, 연풍, 제천, 청주, 충주
영남권 방면경산, 경주, 고아, 구미, 구미공단, 금곡, 김해국제공항, 낙동, 남명, 대구대, 동대구, 문경, 밀양, 복지, 상주, 서대구, 석남사, 선산, 송백, 안동, 양정, 얼음골, 영남대, 영주, 용계, 유천, 점촌, 진량, 청도, 하양, 함창


8. 3. 부산 방면 정류장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방면 노선이 정차하는 정류장은 다음과 같다.

  • '''무거합동정류소'''는 울산광역시 남구 웅촌로 1345 (무거동 1014-1)에 있다. 울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 차량만 정차하며, 부산, 마산, 여수, 창원, 진해 방면 노선이 있다.
  • '''웅촌시외버스정류장'''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곡천검단로 1 (곡천리 285-8)에 있으며, '''삼거리슈퍼'''에서 매표 업무를 한다. 부산, 마산, 여수, 창원, 진해, 통영 방면 노선과 방어진↔부산 노선이 정차하며, 울산↔웅촌, 방어진↔웅촌 구간도 이용할 수 있다.


운행 노선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운행 횟수시간표 (울산터미널 기준)
울산 ↔ 부산푸른교통, 금호고속울산 ↔ 부산
동래역(심야)
공업탑, 옥동, 무거, 웅촌, 용당, 서창, 덕계5~25분첫차:05:40(울산 기준)
막차:02:00(울산 기준)
울산 ↔ 마산울산 ↔ 마산공업탑, 옥동, 무거, 웅촌, 용당, 서창, 덕계, 부산4회10:33, 13:26, 17:50, 18:37
울산 ↔ 여수금호고속울산 ↔ 여수공업탑, 옥동, 무거, 웅촌, 용당, 서창, 덕계, 부산, 마산, 순천, 여천3회05:55, 09:28, 14:48
울산 ↔ 창원울산 ↔ 창원공업탑, 옥동, 무거, 웅촌, 용당, 서창, 덕계, 부산3회05:40, 05:50, 09:20
울산 ↔ 진해울산 ↔ 진해공업탑, 옥동, 무거, 웅촌, 용당, 서창, 덕계, 부산, 창원3회09:20, 13:00, 17:00
방어진 ↔ 부산금호고속방어진 ↔ 부산KT동울산지점, 현대중공업, 남목1동, 현대자동차, 웅촌, 용당, 서창, 덕계20~60분첫차:05:50(방어진 기준)
막차:24:00(방어진 기준)
방어진 ↔ 통영금호고속방어진 ↔ 통영KT동울산지점, 현대중공업, 남목1동, 현대자동차, 웅촌, 용당, 서창, 덕계, 부산, 남마산, 진동, 배둔, 고성8회05:50, 08:05, 08:50, 11:10
12:40, 14:30, 15:40, 17:30


8. 4. 해운대 방면 정류장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 방면 노선이 정차하는 정류장은 다음과 같다.

  • '''울산대공원동문앞정류장'''은 남구 신정2동 16-3 울산대공원의 동문앞에 있다. 시내·시외버스 통합정류장이 설치되어있다. 직행과 고속도로 직통이 모두 정차한다.
  • '''덕하시외버스정류장'''은 울주군 청량읍 덕하로 231 (상남리 580-3)에 있다. '''경북상회'''라는 슈퍼에서 매표업무를 하고 있다. 울산↔덕하구간도 이용할 수 있다.
  • '''망양정류장'''은 울주군 온양읍 덕망로 306 (망양리 481-103)에 있는 '동양마트'의 맞은편에 있다. 시외버스정류장이 따로 없고 시내버스정류장에 정차하며 매표소도 없다. 울산↔망양구간도 이용할 수 있다.
  • '''남창시외버스정류장'''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남창1길 48 (남창리 197-2)에 위치하고 있다. 울산↔남창구간도 이용할 수 있다.


운행 노선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시간표
(울산터미널 기준)
울산 ↔ 해운대해운대고속울산 ↔ 해운대울산대공원동문앞, 덕하, 망양, 남창, 명례, 하근, 좌천, 일광, 기장, 송정30~35분첫차:05:45(울산 기준)
막차:00:50(울산 기준)
울산대공원동문앞, 장산역20~30분첫차:07:00(울산 기준)
막차:20:30(울산 기준)


8. 5. 경주 방면 정류장

국도 제7호선을 경유하여 경주시, 포항시 방면 노선이 정차하는 정류장은 다음과 같다.

  • '''효문시외버스정류장'''은 북구 진장동 620-2에 있는 시내·시외버스 통합정류장이다. 2012년 6월 1일에 매표 업무가 중단되어, 현금으로 승차해야 한다. 컨테이너 건물은 철거되었고, 버스 시간도 명시되어 있지 않다.[39][40] 효문정류장에서는 감포 방면 노선도 이용할 수 있다.
  • '''울산공항시외버스정류장'''은 북구 송정동 울산공항 앞에 있는 시내·시외버스 통합정류장이다. 매표소가 없다.
  • '''호계시외버스정류장'''은 북구 호계동 768-6에 있다. 상안교사거리 근처 국도 제7호선(산업로) 도로변에 있으며 컨테이너 가건물에서 매표 업무를 한다.


이들 정류장에서는 금아여행이 운행하는 울산 ↔ 경주 노선(33회), 울산 ↔ 안동 노선(4회), 울산 ↔ 포항 노선(43회), 울산 ↔ 강릉 노선(4회)과 새서울고속이 운행하는 울산 ↔ 청주 노선(3회)이 정차한다.[39] 경주행 노선은 모화, 입실, 불국사를 경유하며,[39] 안동행 노선은 경주, 영천 등을 경유한다. 포항행 노선은 일부 시간대에 경주를 경유하거나 무정차 운행한다.[40] 강릉행 노선은 포항을 경유하거나, 동해에 직통으로 운행한다.

경주시 감포읍 방면 노선이 정차하는 간이정류소는 다음과 같다.

  • '''KBS울산정류장'''은 남구 번영로 212 (달동 416-7) KBS울산방송국 앞에 있다. 시외버스정류장은 없고 시내버스정류장에 정차한다.
  • '''구역전시장정류장'''은 중구 구교로 20에 있다. 울산 ↔ 감포 노선만 정차하는 정류장이 있다.
  • '''학성공원정류장'''은 중구 학성동 학성공원 앞에 있다. 시내버스정류장에 정차한다.
  • '''효문정류장'''은 위의 경주·포항 방면 노선이 정차하는 효문시외버스정류장과 같은 곳이다.


이후 국도 제31호선을 경유, 북구 강동동~경주시 감포읍 구간은 모든 시내버스정류장에 정차한다. 해운대고속이 운행하는 울산 ↔ 감포 노선은 6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강동동(달곡·정자·신명)에서는 울산터미널 방면도 이용할 수 있다.

8. 6. 방어진 방면 정류장

방어진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 노선은 KT동울산지점, 현대중공업, 남목1동, 현대자동차 정류장을 모두 경유한다. 단, 방어진↔강릉 노선은 현대자동차 정류장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 '''KT동울산지점정류장'''은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771-1(전하2동 639-8)에 있는 대영정비공업사의 맞은편에 있다.
  • '''현대중공업정류장'''은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1000(전하1동 1)에 있는 현대중공업 본사 앞에 있다. 시내·시외버스 통합정류장이 설치되어있다.
  • '''남목1동정류장'''은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1128(서부동 315-57)에 있다. 시내·시외버스 통합정류장이 설치되어있다.
  • '''현대자동차정류장'''은 북구 염포로 549-1(양정동 604-5)에 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정문 인근이다.

8. 7. 석남사정류장

'''석남사정류장'''은 울주군 상북면 석남로 556 (덕현리 1002)에 위치한다. 울산↔청도, 밀양↔석남사 노선이 운행한다.[41]

운행
노선
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시간표
(울산터미널 기준)
울산 ↔ 청도
경산버스울산청도태화로터리, 신복, 석남사, 얼음골, 남명, 송백, 금곡, 밀양, 유천3회12:20, 14:55, 18:30(울산 기준)
석남사 ↔ 밀양
밀성여객석남사밀양얼음골, 남명, 송백, 금곡10회08:30, 09:30, 11:00, 12:20, 13:20, 14:20, 16:00, 17:40, 18:20, 19:20


9. 문제점 및 개선 방향

참조

[1] 교통 신복 경유 노선
[2] 교통 의정부 경유 노선
[3] 교통 공업탑 경유 노선
[4] 교통 태화 경유 노선
[5] 교통 오산, 수원 경유 노선
[6] 교통 구미, 신갈 경유 노선
[7] 교통 여주 경유 노선
[8] 교통 송도 경유 노선
[9] 교통 안산 경유 노선 (2가지)
[10] 교통 효문 경유 노선
[11] 교통 동해/포항,울진,삼척,동해 경유 노선
[12] 교통 원주,횡성,공근,홍천 경유 노선
[13] 교통 영주 경유 노선
[14] 교통 태화,신복/효문,모화,입실,불국사,경주 경유 노선
[15] 교통 구미,상주,점촌,문경,연풍,수안보 경유 노선
[16] 교통 양산,보성,삼호 경유 노선
[17] 교통 옥동 경유 노선
[18] 교통 양산,김해,광양 경유 노선
[19] 교통 김해,광양/무거,용당,웅촌,서창,덕계,부산,동래,마산,순천,여천 경유 노선
[20] 교통 달곡,정자,신명,하서,나아,봉길,대본,전촌 경유 노선
[21] 교통 진량,영남대 경유 노선
[22] 교통 모화,입실,불국사 경유 노선
[23] 교통 복지,구미공단 경유 노선
[24] 교통 양산 경유 노선
[25] 교통 경주,하양 경유 노선
[26] 교통 무거,웅촌,용당,서창,덕계,부산 경유 노선
[27] 교통 신복/무거,용당,웅촌,서창,덕계,부산 경유 노선
[28] 교통 무거,웅촌,용당,서창,덕계 경유 노선
[29] 교통 태화,신복 무정차/효문,모화~의성/효문,모화~길안 경유 노선 (3가지)
[30] 교통 무거,용당,웅촌,서창,덕계,부산,남마산,진동,배둔,고성,통영,사곡삼거리,고현,옥포 경유 노선
[31] 교통 복지,구미공단,구미,고아,선산,낙동,상주,양정,함창/구미,상주 경유 노선
[32] 교통 일부 시간대 양산 경유 노선
[33] 교통 무거,용당,웅촌,서창,덕계,부산,창원 경유 노선
[34] 교통 신복 무정차/무거,용당,웅촌,서창,덕계,부산 경유 노선
[35] 교통 석남사, 얼음골, 남명, 송백, 금곡, 밀양, 유천 경유 노선
[36] 문서 고현, 사곡 경유 노선
[37] 문서 무정차 및 모화, 입실, 불국사, 경주 경유 노선
[38] 문서 무정차(장산역 경유) 및 덕하, 망양, 남창, 명례, 하근, 좌천, 일광, 기장, 내리, 송정 경유 노선
[39] 문서 경주, 안동, 청주, 포항 경유 노선 운행횟수
[40] 문서 포항, 강릉 경유 노선 운행횟수
[41] 문서 대구 남부시외버스터미널 및 청도 운행 노선 안내
[42] 간행물 울산광역시 도로명 제·개정 고시 울산광역시 2001-00-00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추정 불가
[43]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44] 웹사이트 원효터널외 1개 구조물 비파괴검사(터널스캐너) 조사 - 과업내용서 https://www.kalis.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